'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6건

  1. 2009.03.18 VirtualBox 오류 1
  2. 2009.03.08 외장 하드를 윈도우 설치용으로 만들기
  3. 2009.03.05 1초 값
  4. 2009.03.03 소스 버전 변경하기
  5. 2009.03.02 Branch & Merge
  6. 2009.02.27 AnkhSvn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1
  7. 2009.02.27 AnkhSvn 설치
  8. 2009.02.27 VisualSVN 서버 사용하기
  9. 2009.02.27 VisualSVN 설치
  10. 2009.02.25 SVN 설치 준비하기
  11. 2009.02.18 Eclipse + SQL Explorer + Oracle10g
  12. 2009.02.17 Line Number Addin for VC++6.0
  13. 2009.02.14 Sql2008 DB
  14. 2009.02.12 ASP 3.0 무료 호스팅
  15. 2009.02.03 ASP.NET 쿠키 개요

VirtualBox 오류

|

툴바의 설정 클릭 시 CO_E_NOTINITIALIZED (0x800401F0)

파일-환경설정 클릭 시 USB 하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파일-환경설정 변경 후 저장 시 전역 VirtualBox 속성을 지정할 수 없습니다.

VirtualBox 종료 시 VirtualBox.exe의 작동이 중지되었습니다.

이 모든 오류가 Office 설치 시 변경된 IME 때문입니다.
이 IME만 기본 IME로 변경하면 이상 없이 잘 동작하게 됩니다.
제어판-시계, 언어 및 국가별 옵션-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 방법 선택
 
키보드 변경 클릭

기본 입력 언어에 Microsoft Office IME 2007 인것을 변경해야 하는데
설치된 서비스에 Microsoft Office IME 2007 밖에 없다면 추가해야 합니다. 
추가를 클릭합니다.
 
거의 밑에 한국어(대한민국)-키보드-Microsoft 한글 입력기를 선택합니다.
 
Microsoft 한글 입력기를 추가한 뒤
기본 입력 언어를 Microsoft Office IME 2007 을 Microsoft 한글 입력기 로 변경합니다.

확인을 눌러 마친 뒤 VirtualBox를 이용하면 무난하게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And

외장 하드를 윈도우 설치용으로 만들기

|

필수로 필요한 것은 2가지 입니다.
Grub와 Grubinst입니다.

우선 외장 하드가 Grub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grubinst_gui.exe를 실행합니다.
  
해당 Disk를 선택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3번째(0이 첫번째) 하드이네요.
그 후 Part List 우측의 Refresh를 클릭합니다.
 
저는 이미 구성을 해놨기 때문에 여러개의 파티션이 보이고 있습니다.
가장 첫번째의 Whole disk (MBR) 을 선택합니다.
MBR이 부팅 시작 시 맨 처음 읽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Don’t search floppy 만 선택한 뒤에 Install을 클릭하면
Grub로 부팅이 이루어 지게 되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Grub는 부팅 유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 Grub를 가장 첫번째 파티션에 풀어 놓도록 하겠습니다.
grldr  grub.exe   menu.lst
이 세 파일이 존재하는데 실제 웹사이트에서 받으면
더 많은 파일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파일만 가지고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세가지 파일만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제론 menu.lst 파일만 변경합니다.

우선 필요한 윈도우 갯수 만큼의 파티션을 만듭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논리 파티션으로 만들어 놨습니다.
이제 UltraISO 같은 ISO 편집 툴을 이용하여
윈도우 이미지를 해당 파티션으로 복사합니다.
그냥 윈도우의 복사 기능을 선택하여 설치할 경우에
제대로 설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복사를 한 이후엔 menu.lst파일을 편집하여 맞추어 주셔야 합니다.
menu.lst 파일을 편집 툴을 이용하여 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제가 쓰고 있는 내용입니다.
# This is a sample menu.lst file. You should make some changes to it.
# The old install method of booting via the stage-files has been removed.
# Please install GRLDR boot strap code to MBR with the bootlace.com
# utility under DOS/Win9x or Linux.

color cyan/blue white/blue
timeout 10
default 0

title Microsoft Vista Enterprise K with Service Pack 1 x86
find (hd0,4)/bootmgr
chainloader (hd0,4)/bootmgr

title Microsoft Vista Enterprise K with Service Pack 1 x64
find (hd0,5)/bootmgr
chainloader (hd0,5)/bootmgr

title Microsoft Server 2008 x86
find (hd0,6)/bootmgr
chainloader (hd0,6)/bootmgr

title Microsoft Server 2008 x64
find (hd0,7)/bootmgr
chainloader (hd0,7)/bootmgr

title Microsoft Windows 7 beta x86
find (hd0,8)/bootmgr
chainloader (hd0,8)/bootmgr

title Microsoft Windows 7 beta x64
find (hd0,9)/bootmgr
chainloader (hd0,9)/bootmgr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쉽습니다.
처음에 #으로 시작하는 것들은 주석입니다.
color cyan/blue white/blue
timeout 10
default 0

그 뒤에 5번째 줄의 내용은 보여지는 색상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timeout은 변경하지 않으면 기본 설정으로 실행 됩니다.
default는 처음에 지정될 것입니다.
저는 10초 동안 입력이 없으면 맨 처음인 Vista Enterprise x86이 설치되게 해놨습니다.
title Microsoft Vista Enterprise K with Service Pack 1 x86
find (hd0,4)/bootmgr
chainloader (hd0,4)/bootmgr

이제 그 뒤의 내용이 중요합니다.
title은 보여지게 될 내용입니다. 부팅과 관련된 의미로 적어 넣는 것이 좋습니다.
find 는 다음파일이 있는지 검사를 합니다.
만약 없다면 다시 메뉴로 돌아오게 됩니다.
chainloader는 해당 파일을 실행(?)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find와  chainloader의 (hd0,4) 의 의미는 첫 번째(0이 첫번째입니다.) 하드의
다섯번째(역시 0이 첫번째이므로 4가 다섯번째를 의미합니다.) 파티션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위의 grubinst 설치에서는 hd2였지만 여기서 hd0으로 작성한 이유는
부팅시 F12(저의 경우입니다.)를 누르면 원하는 부팅 매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Usb 스토리지 를 선택하면 USB 외장 메모리 or 하드 가 첫번째로 선택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여기서는 hd2가 아닌 hd0으로 작성합니다.
파티션 값은
주 파티션은 순서대로 0, 1, 2, 3 이 되며 
논리 파티션을 4 부터 순서대로 부여됩니다.
만약 주 파티션이 0만 있다 해도 논리 파티션은 4부터 시작됩니다.
저는 논리 파티션에 모두 몰아 놨습니다.
왜 이렇게 했는지는 다음 글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bootmgr는 vista, server 2008, windows7은 모두 동일한 파일로 부터 시작 됩니다.
만약 xp, server 2003 등의 하위 버전 윈도우의 경우에는
제가 아직 테스트 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Dos 부팅 하도록 유도한 뒤에 setup.exe를 직접 실행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title , find , chainloader 를 필요한 만큼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menu.lst 파일은 수정한 뒤에 재부팅 시 USB로 부팅 매체를 선택하여 부팅하면
윈도우 설치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제 위에서 설명하지 않은 제가 논리 파티션을 이용한 이유입니다.
외장 하드의 특성상 뺐다 꼽았다를 여러번 수행하게 됩니다.
이때마다 자동실행이 시작되어 윈도우 설치를 할지 여부를 물어보게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6개의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6번 물어보게 됩니다.
이렇게 물어보는 것을 없애기 위하여 자동실행을 막아야 하는데
내 PC의 자동실행은 막을 수 있어도 다른 사람 PC 까지 막을 수는 없습니다.
( 외장 하드로 데이터를 넘겨줄 경우 )
그렇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실행을 막기 위해서는 파티션을 숨겨야 합니다.
숨기는 방법으로는 MBRWiz를 이용하면 숨길 수 있습니다.
우선 다운받은 MBRWiz를 풀고 cmd(혹은 command)를 실행합니다.
그런 뒤에 MBRWiz 경로로 이동합니다.
MBRWiz.exe /list
 
명령을 입력하면 현재 디스크 별 파티션의 내용이 보입니다.
저는 논리 파티션로 만들어 놨기 때문에 Disk: 2에 파티션 0과 파티션 1에 Extend로 보이지만
만약 주 파티션으로 만들었다면 Disk: 0 처럼 여러개로 보이게 됩니다.
파티션 1이 확장 파티션으로 논리 파티션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티션이 되며
이 확장 파티션을 숨기게 되면 논리 파티션 전체가 숨겨지게 됩니다.
이제 숨기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숨기기 전에 원래 파티션 Type값을 기억해야 합니다.
저의 경우엔 0Fh입니다. ( h는 16진수를 의미합니다. )
그래야 나중에 복원한 뒤 설치가 가능하게 됩니다. ( 숨겨진 상태에선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
MBRWiz.exe /disk=2 /part=1 /type=12h
 
명령을 수행하면 파티션 타임을 변경할지 물어봅니다. Y를 눌러 변경하도록 합니다.
변경 후에 다시 MBRWiz.exe /list 명령을 수행하면
 
해당 파티션 타입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파티션은 접근 할 수 없는 파티션으로 삭제 및 수정등의 모든 행동이 불가능해 집니다.
위에서도 언급 했듯이 이 상태로 윈도우 설치를 진행하게 되면
설치 중 윈도우 하드 디스크 선택에서 디스크 드라이버를 넣어달라고 합니다.
이는 파티션 정보가 윈도우가 인식할 수 없는 타입이기 때문에 나오는 것으로
우리는 이런 드라이버가 없기 때문에 설치에 돌입하기 전에 원복을 해야 합니다.
복구는 같은 방법으로
MBRWiz.exe /disk=2 /part=1 /type=0Fh
이렇게 하면 됩니다. ( 저는 확장 파티션이어서 0Fh입니다. )
참고로 NTFS는 07h이며 FAT32는 0Ch, FAT는 0Eh 입니다.
( 이 값이 운영체제 혹은 다른 여건에 의하여 상이할 수 있습니다.
철저한 현제 저의 운영체제에서의 값 입니다. )

And

1초 값

|

Date 타입에서 정수는 날짜 의미
소수점은 시간 의미

정수 1 차이가 날짜 하루 차이
1일 = 24시간
1시간 = 60분
1분 = 60초
1초 = 1 / 60 / 60 / 24
= 1.1574074074074074074074074074074e-5
= 0.000011574074074074074074074074074074

And

소스 버전 변경하기

|

변경 방법
image 
원하는 파일에서 우클릭하여 Update를 선택합니다.
image  
Head : 가장 최신 버전을 가져옵니다.
Preview : 현재 로컬 파일 버전의 이전버전을 가져옵니다.
숫자 : 해당 버전으로 변경합니다.
         만약 16 버전으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엔 16을 직접 입력하면 됩니다.

만약 SVN이 직접 변경하기 어려운 경우 ( 변경해야 하는 부분이 수정중인 경우 )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 .mine
			// 3 1
=======
			// 2
>>>>>>> .r16

이렇게 나오며 위의 부분은 현재 수정중인 부분
아래는 변경해야 할 부분이 나옵니다. 이 경우엔 사용자가 지정해 줘야 합니다.
image 
해당 파일은 ! 표시가 되며 해당 파일에서 우클릭을 하면 Resolve라는 메뉴가 생기고
그 안에서 결정을 해주면 됩니다.
Resolve Conflict : 현재 보이는 대로 나둡니다.
Using Working copy file : Resolve Conflict 와 동일한 작업으로 보입니다.
Using Original file : 로컬 버전으로 되돌립니다.
Using My File : 수정하던 것을 유지합니다.
Using Their file : Update하려는 버전으로 변경합니다.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
원하는 파일에서 우클릭 한뒤 View History 를 선택하면 됩니다.
image 
만약 이곳에서 보이지 않는 14같은 버전을 선택하면 그 아래의 9가 선택 됩니다.
( 실제 14버전은 존재하지만 그 버전 때에 해당 파일의 변경이 9에서 없었던 겁니다. )
만약 없는 버전을 선택한다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보입니다.
image

And

Branch &amp; Merge

|

Branch
image 
솔루션에서 우클릭하여 Subversion –> Branch Solution 선택
image 
기본적으로 trunk 상위 경로에 branches 경로로 생성됩니다.
image 
image 
image 
인증까지 마치면 Branches가 완료 됩니다.

이제 Branch 소스를 가져옵니다.
보기(V)->Repository Explorer 실행
image 
image 
인증을 합니다.
image 
왼쪽 창에 branches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age 
Repository Explorer안의 툴바 첫번째 하트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image 
경로를 지정하고 OK를 하여 해당 소스를 받도록 합니다.
받은 솔루션을 열면 Branch가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Merge를 하기 위해서 우선 소스를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orm1.cs 의 소스를 수정하도록 해보겠습니다.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기본 소스를 다음과 같이 변경 하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this.Load += new EventHandler(Form1_Load);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Text = "Merge Test";
}

이제 변경한 소스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을 합니다.
이제 변경한 파일을 Commit 합니다.

이제 Merge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trunk 솔루션을 열도록 하겠습니다.
솔루션에서 우클릭 Subversion->Merge Solution 선택
image 
Perform pre-merge best practices check 체크 해제 합니다. Next
image 
Select 를 눌러 Branches 경로로 설정합니다.
image
인증을 한 후
 image
OK 후 Finish 선택
image 
image
이제 Form1.cs파일을 확인하면 변경한 것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서버에도 적용하려면 commit을 해야 합니다.
단 제대로 Merge 되었는지 확인 후에 commit 을 하도록 합시다.

이제 Branch와 Merge가 완료 되었습니다.

And

AnkhSvn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

 
VS2008 ( VS2005 ) 를 실행합니다.
우선 제대로 설치 되었는지 확인을 위하여 도구(T)->옵션(O)을 선택합니다.
 
설치가 제대로 되면 소스제어 가 Source Control로 변해있게 됩니다.
만약 원래인 소스제어를 원하시면
http://code.msdn.microsoft.com/KB957507/Release/ProjectReleases.aspx?ReleaseId=1854
VS90SP1-KB957507-KOR-x86.exe 를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 SP1 설치시 Intellisense가 영어로 나오는걸 다시 한글로 변경하는 겁니다. )
 

명령 설명
Commit : 변경된 파일을 서버에 적용합니다.
             만약 서버의 해당 파일의 버전이 로컬의 해당 파일의 버전보다 높다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Update : 서버의 변경된 파일을 받습니다.
             SourceSafe와는 달리 해당 파일을 모두 변경하는 것이 아닌
             로컬과 비교하여 바뀐 부분만 Merge하게 됩니다.
Revert : 변경 이전으로 되돌립니다.
Branch Solution : 복사본을 만듭니다.
             보통 Trunk에서 Branch로 복사본을 만듭니다.
             개발 작업은 Branch에서 진행하고 배포 버전 관리를 Trunk에서 합니다.
Merge Solution : Branch와 Trunk를 Merge를 수행합니다.
             왠만하면 잘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생성시 추가방법
소스제어를 선택하여 AnkhSVN을 선택합니다.

프로젝트 생성시 Add to Subversion을 선택하면 프로젝트를 만든 다음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곳의 Url에 SVN의 https주소를 적습니다.
( https://localhost:8443/svn/저장소이름 )
저장소이름까지 적어야 보입니다.
 
https의 경우 인증이 필요로 합니다. Accept 클릭
 
VisualSVN에서 추가한 User로 로그인합니다.
   
원하는 경우 Create Folder로 폴더를 새로 생성하고 진행합니다.
Add trunk Folder for Project를 선택하여 trunk로 생성합니다.
 
다시 한번 인증 합니다.
로그인까지 하고 나면 이제 등록하게 됩니다.
  
Log Message에 남길 기록을 작성한 뒤 OK를 누릅니다.
 
솔루션 탐색기에 + 표시가 되고 아래 창에 Pending Changes에 변화된 내역이 보입니다.
 
솔루션 위에서 우클릭하여 Commit Solution Changes를 선택하여 서버에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Log Message에 변경 사유등을 작성한 뒤 OK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솔루션 탐색기의 + 표시가 V 표시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기존 프로젝트를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보기(V)->Repository Explorer 를 선택합니다.
 
현재 작업할 저장소를 선택합니다.
그 뒤 Repository Explorer 탭 이름 밑의 하트모양의 아이콘 ( Checkout ) 을 선택합니다.
 
해당 파일을 받을 곳을 지정하고 OK를 누르면 모든 내용을 가져오게 됩니다.
그 뒤엔 동일하게 작업하면 됩니다.

And

AnkhSvn 설치

|

우선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2.0.5250.202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Next 클릭
 
동의한 후 Next 클릭

기본 경로로 설치합니다. Next

Install 클릭
 
 
Finish 클릭
SVN Client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And

VisualSVN 서버 사용하기

|

 
최초 실행하면 0 users and 0 groups 입니다.
우선 user를 만듭니다.
왼쪽 창의 Users를 선택합니다.
 
우측창에서 우클릭을 하여 새로운 User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처음 설치하면 Users는 없습니다.
Create User 나 새로만들기 –> User 를 이용하여 새로운 User를 만듭니다.
 
이번엔 그룹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왼쪽창에 Groups를 선택합니다.
 
그룹 역시 처음엔 없습니다.
역시 같은 방법으로 Create Group을 선택합니다.
 
그룹명을 선택하고 그룹에 속할 Members(Groups, Users)를 Add버튼을 이용하여 추가합니다.
 
Add 버튼을 누르면 추가할 수 있는 Group과 User가 나타납니다.
원하는 Member를 선택합니다.
이제 왼쪽창의 Repositories를 선택하여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역시 처음에는 하나도 없습니다.
우클릭을 하여 Create New Repositoriy를 선택합니다.
 
저장소 이름을 적습니다.
Create default structure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저장소 구분을 만들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trunk의 경우에는 안정화 된 배포버전을 보관하는 장소로 이용됩니다.
branches의 경우에는 trunk에서 개발을 위하여 임시 장소 격으로 사용되는 장소입니다.
tags의 경우는 임시 배포로 알고 있습니다.
우선은 생성 안하도록 하겠습니다.
생성한 Repository에서 우클릭 하여 Properties를 선택합니다.
 
최초엔 Everyone만 존재하며 Read / Write 옵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옵션을 No Access로 선택하여 정해진 사용자 외에는 접근을 금지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만든 User를 등록합니다.
(Everyone 의 경우에는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삭제를 누르면 기본 설정인 Read / Write로 돌아갑니다. )
기본 설정이 완료가 되었고 실제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왼쪽창의 VisualSVN Server를 선택하여 최초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보이는 URL로 접속을 하면 Internet Explorer로 접속되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곳에 좀전에 만든 User로 로그인을 합니다. (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
최초 접근시 확인되지 않은 인증서 사용이라고 나옵니다.
Internet Explorer 상단의 자물쇠를 클릭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변경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이미 테스트를 다 하였기 때문에 해당 화면이 없습니다. )
 
위와 같이 생성한 Repositories가 나오면 설정 완료입니다.

And

VisualSVN 설치

|

우선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1.6.3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Apache2.2.9, Subversion1.5.5 가 함께 설치 됩니다.
Next 클릭
 
License에 동의한 뒤 Next 클릭
 
Location: 기본 프로그램 설치 경로
Repositories: 저장소 설치 경로
Server Port: 웹 기본 사용 포트입니다.
Use secure connection: 보안된 접속으로 할지 여부입니다.
                                   http://로 접속 하려면 체크 해지합니다.
Authentication: 인증방식을 결정합니다.
Next 클릭
 
Install 클릭
 
 
( 설치 완료 이전에 새로운 Repositories를 만든것인지
기존의 Repositories를 연결할 것인지 물어보는 곳이 있었는데
테스트 후 재 설치를 하여서 기존 정보를 그대로 이용된거 같습니다. )
이것으로 SVN 서버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And

SVN 설치 준비하기

|
And

Eclipse + SQL Explorer + Oracle10g

|

Eclipse 설치
http://www.eclipse.org/downloads/

SQL Explorer Plugin 설치
http://sourceforge.net/projects/eclipsesql/

Oracle Client 설치 ( 10g 기준 ) ( 11g는 Vista용이 별도로 없습니다. )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htdocs/10201winsoft.html
Vista용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htdocs/10203vista.html
설치시 주의점 ( 외장 하드 이용 시 기본 디렉토리를 외장하드로 지정하니 변경 )

SQL Explorer 전체 실행
Eclipse – Windows – Open Perspective – Other 선택
  SQL Explorer 선택
SQL Explorer 개별 실행
Eclipse – Windows – Show View – Other 선택
  SQL Explorer 내의 원하는 것 선택

Connection 설정
Connections 창 위에서 우 클릭 또는 해당 아이콘
  Create New Connection Profile
  Oracle Thin Driver 선택 ( 없으면 Add/Edit Drivers 에서 추가 )
  URL ( jdbc:oracle:thin:@<server>":1521:<database_name> )
          <server> = 서버IP , <database_name> = DB이름
  User Name ( 유저 ID )


Oracle Thin Driver 추가
  Add/Edit Drivers 클릭
  SQL Explorer –> JDBC Drivers 에서
     Oracle Thin Driver 더블 클릭
        Extra Class Path 탭 선택
            Add  -> Oracle Client 폴더의 ojdbc14.jar 선택
            List Drivers 클릭하여 Driver Class Name으로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선택

And

Line Number Addin for VC++6.0

|
And

Sql2008 DB

|
And

ASP 3.0 무료 호스팅

|
And

ASP.NET 쿠키 개요

|
And
prev | 1 | 2 | 3 | 4 | next